캐나다 편입관련 자주 나오는 질문과 답변

캐나다대입 정보센터

지난 몇 년 동안 캐나다 편입관련 자주 나오는 질문과 답변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한국에는 아마 저희 유학원이 가장 케이스가 많지 않을까 싶은데요, 캐나다 편입을 처음 알아보는 단계라면 먼저 유학백서 홈페이지에 있는 여러가지 편입 관련 포스팅을 정독하신 후 문의주세요. 캐나다 편입 관련 다른 포스팅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열람하시면 됩니다.

 

캐나다 컬리지의 학부편입과정(University Transfer Program)
온타리오 주 컬리지에서 편입할때 손해보는 이유
편입을 목적으로 컬리지에 입학하면 안되는 2가지 상황
한국대학에서 캐나다대학에 편입 시 참고사항

 

 

1. 캐나다 편입관련 자주 나오는 질문과 답변

 

1-1. 캐나다에서 편입할 수 있는 대학은 어디어디가 있나요?

캐나다 전역에는 약 50개 정도의 4년제 대학이 있습니다. 모든 4년제 대학은 편입생(Transfer Student)에 대한 규정이 존재하므로, 대학을 한 학기라도 다닌 적이 있으면 편입생으로 지원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한국학생들은 캐나다에서 3대 명문대로 손꼽히는 토론토 대학교, 맥길 대학교, UBC 편입을 궁금해합니다. 아무래도 편입을 생각하는 학생들은 자기가 다니는 학교보다 인지도나 랭킹이 높은 학교로 옮기려는게 보편적이기 때문이겠죠. 캐나다에서 어느 대학이 인지도나 랭킹이 높은지는 캐나다 대학랭킹을 참고해보세요.

 

1-2. 학점 인정을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는 캐나다대학은 어디인가요?

캐나다대학은 합격된 학생한테만 학점 인정 절차(Transfer Credit Process)를 진행해주므로, 여러분이 얼마나 많은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지는 편입학 전형을 거쳐서 합격이 되기 전에는 미리 알 수 없습니다. 단, BC 주에 있는 대학들은 상호간의 학점교류협약이 잘 되어 있어서 3학년으로 편입되는 케이스가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 한국처럼 편입이 정형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몇 학년으로 편입하는지가 중요한게 아니고, 편입해서 졸업 조건(Degree Requirement)을 얼마나 빨리 채울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됩니다.

 

1-3. 편입 시 전공을 바꿀 수 있나요?

당연합니다.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지원할 때 전공을 1지망에서 2~3지망까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캐나다대학의 커리큘럼은 대부분 1~2학년 때는 전공이 결정된 상태가 아닌 각 단과대학(Faculty) 소속 학생 신분으로 전공을 확정(Major Declaration)하는데 필요한 과목들을 이수하고 3학년(2학년인 경우도 있음)이 되기 직전에 전공을 결정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한국대학에서 인문대 소속이었어도, 캐나다 공대 1학년들이 이수하는 필수과목들을 빠짐없이 이수했다면 공대 2학년으로 편입도 불가능하진 않습니다.

편입 규정에 명시되어 있지 않아도 가능하면 어떤 분야를 전공으로 정하는데 필요한 기초과목을 이수해야 편입에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대학생 수준의 수학/과학을 한 번도 공부한 적 없는 학생이 갑자기 공대로 편입하겠다고 하면 합격될 확률이 제로입니다. 그래서, 별도의 선수과목 요구사항이 없는 인문예술이나 사회과학계열 전공은 상대적으로 편입하는 것이 수월하지만, 공학/자연과학/의과학 등 이공계열 전공으로는 편입이 쉽지 않습니다.

 

1-4. 편입하면 몇 학년이 되나요?

한국의 편입학 제도(일반 편입이나 학사 편입)를 캐나다에 적용해서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은데, 캐나다의 편입 시스템은 한국처럼 정형화 된 것이 아닙니다. 학교/학과별로 편입 규정은 천차만별이라 딱 이렇다 정의할 수가 없는 부분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캐나다대학들은 편입생이 최소 2년 이상은 자기 학교를 다녀야 졸업장을 준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전 대학에서 90~100학점 가까이 이수했어도, 편입할 때는 최대 60학점까지만 학점 인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굳이 따지자면 최대 3학년 1학기로 편입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문제는 합격된 이후에 Transfer Credit Process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여러분이 몇 학년 정도가 될 지는 절대로 미리 알 수 없습니다.

그리고 카일쌤이 누누히 강조하지만 입학 학년이 몇 학년인지는 사실상 하나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편입하고 나서 졸업 조건(Degree Requirement)에 포함된 수업들을 하나도 빠짐없이 이수해야 하는데, 이게 2년만에 딱 끝나는게 아닙니다. 졸업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기존 대학에서 공부한 것들이 얼마나 인정되는지랑 학생의 개인 역량에 따라 다릅니다. 미국이나 캐나다나 한국대학에서 편입하는 경우 정확히 2년만에 졸업하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1-5. 한국에서 이미 대학을 졸업했는데 편입이 가능할까요?

이미 학사학위를 소지한 분들이 다른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하는 것을 세컨 디그리(Second Degree)라고 합니다. 유학백서에서 지금까지 입학 수속을 진행해 본 모든 캐나다대학은 전부 세컨 디그리로 지원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학사편입처럼 딱 2년만 더 공부하면 학위를 딸 수 있는게 아니라 고민을 좀 해보셔야 합니다. 예를 들면 토론토 대학교 편입 규정에는 이런 문구가 있습니다.

“If you hold a university degree, or have completed more than two years of university-level study at another university beyond the minimum requirements, you may only apply for degree studies in a different field.”

위 문구는 지원자가 이미 4년제 대학을 졸업했다면 같은 전공으로는 편입할 수 없다는 뜻이구요, 이어서 이런 문구가 나옵니다.

“If admitted to a different program, such students will be considered for a maximum of five credits (one full year) from their previous studies.”

위 문구는 편입 시 최대 1년치에 해당하는 학점(5.0 credits)만 인정받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토론토 대학교에서 세컨 디그리를 받으려면 최소 3년 이상은 다녀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이런 식이라는게 문제임 -_-)

 

1-6. 캐나다 컬리지를 통해 영주권을 받고 편입하는게 낫나요?

당연하죠! 영주권자는 내국인 학비(Domestic Tuition Rate)가 적용되니까, 기회가 된다면 영주권을 받은 다음에 편입하는게 유학비용 면에서는 엄청난 이득입니다. 단, 영주권을 받기 위해서 소요되는 시간이 길게는 5년 이상 걸릴 수 있다는 부분을 생각해야 하고, 시간은 돈으로 환산할 수 없으니 개인사정에 맞춰서 잘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최근에는 단기간에 영주권을 받을 수 있는 루트가 많아졌긴 하지만, 어떤 루트든 영주권이 무조건 100% 발급된다는 보장은 없다는 것도 생각하셔야 합니다. 솔직히 지난 몇 년 동안 영주권 취득 후 4년제 대학에 편입하겠다는 원대한(?) 계획을 물어보는 학생들이 실제로 실천까지 옮기는건 거의 본 적이 없어요. 삶이 바빠지면 공부 생각이 안 드는게 맞긴 합니다.

 

1-7. 편입할때 고등학교 성적도 보나요?

학교마다 다르지만, 편입은 가장 최근 1~2년 동안의 성적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대학을 다닌 기간이 2년에 가까울수록 고등학교 성적의 반영 비율은 낮아집니다. 일부 캐나다대학은 편입 시 고등학교 성적을 아예 반영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UBC를 포함한 BC 주 4년제 대학들은 편입 규정이 대부분 그렇습니다. 저희 홈페이지에서 UBC 편입 가이드 컨텐츠를 참고하시면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

 

2. 편입을 생각하는 학생들한테 받는 곤란한 질문과 답변

 

2-1. 캐나다 4년제 대학은 졸업하기 어렵나요?

2년제 컬리지/전문대학 졸업을 앞둔 학생들한테 이런 질문이 매우 자주 나옵니다. 이런 질문은 사실 굉장히 퀄리티가 떨어지는 질문입니다. 제가 졸업하기 쉽다고 하면 편입에 도전하고, 졸업하기 어렵다고 하면 도전을 포기하실건가요? 영어권 4년제 대학에서 공부한다는 건 개인의 학습 능력이나 사전 지식의 깊이, 그리고 영어 독해 능력에 따라 개인차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캐나다 현지 대학생들이랑 얘기를 많이 하면서 알게 된 사실인데, 4년제 대학은 2년제 컬리지/전문대학에 비해 높은 성적을 받기가 쉽지 않다는 점은 확실합니다. 각 대학교 홈페이지에서 전공별 졸업 조건(Degree Requirement)을 찾아보면, 졸업까지 어떤 과목들, 어떤 커리큘럼을 수료해야 하는지 미리 볼 수 있는데, 그걸 통해서 난이도를 가늠해보세요.

 

2-2. 현재 GPA가 4.5 만점에 얼마얼마입니다. 합격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요?

합격 가능성은 몇 퍼센트다 이런 식으로 통계를 낼 수 없습니다. 인기 전공의 경우 다른 학생들과의 경쟁에서 이겨야 합격이 되는건데, 자기가 아무리 스펙이 좋아도 같은 시기에 지원한 모든 학생들이 나보다 스펙이 좋으면 떨어질 수도 있는겁니다. 또한, 대학교 GPA만으로 편입생을 선발하는 학교/학과도 있지만 에세이, 추천서, 과외 활동 등 학생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서 선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편입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요소가 GPA인건 맞습니다. 그러므로, 최대한 지난 합격자들의 평균 GPA랑 비슷하거나 그 이상을 유지해야 합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캐나다대학들 중에는 지난 합격자들의 평균 GPA를 공개하는 곳도 있고, 공개하지 않는 곳도 있다는 점은 참고하세요.

 

2-3. 학점은행제를 통해서 대학교 학점을 이수했습니다. 캐나다에 편입 시 인정되나요?

무조건 안 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스 바이 케이스입니다. 그러나, 학점은행제는 강의계획서(Syllabus)가 영문으로 안 나온다는 문제가 있고, 편입하려는 대학에서 랩(Lab) 실습을 포함한 커리큘럼만 인정하는 경우에는 학점은행제로 이수한 과목이 인정이 안 됩니다. 카일쌤의 경험에 의하면 수학 과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이과 과목은 인정이 안 됩니다.

원하시는 학교/학과가 학점은행제를 인정하는지 정확히 알아봐 드리는 일은 저희도 시간과 공을 들여야 하는 유료 서비스에 해당하므로 정식으로 수속 의뢰를 주셔야 합니다. 물론, 유학원에 지불하는 수수료가 아까우시면 해당 대학에 직접 물어보시면 됩니다.

자세한 상담을 위해 연락주세요!

저희 웹사이트 내 컨텐츠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아마도 전문적인 컨설팅이 필요한 상황임에 틀림없습니다. 상담신청서 보내주시면 확인하는 즉시 연락 드리겠습니다!

온라인 상담신청서카카오톡 1:1 채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