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백서의 온타리오주 교사 자격증 취득하기 컨텐츠는 Ontario College of Teachers (OCT) 공식 사이트를 참고해서 작성되었습니다. 영어로 된 원문은 해당 웹사이트에서 찾아보시면 됩니다.
목차
1. 온타리오주 교원 양성과정 Teacher Education
1-1. Teacher Education 과정의 구분
온타리오주의 교원 양성과정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됩니다. 첫번째는 Concurrent Education 과정으로 여러분이 교사로서 가르치려는 과목(Teaching Subject)과 관련된 4년제 학사학위(Bachelor of Arts / Science)와 동시에 Bachelor of Education (BEd) 학위를 Dual Degree 형태로 취득하는 과정입니다.
두번째는 Consecutive Education 과정으로, 이미 4년제 대졸이신 분들이 세컨 디그리(Second Degree) 형태로 Bachelor of Education (BEd) 학위를 취득하는 과정입니다.
1-2. 교사 자격증 취득까지 소요 기간
Concurrent Education 과정은 한국의 서울교대처럼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이 입학할 수 있는 교원 양성과정으로, 학업 기간은 최소 5-6년이 소요됩니다. Consecutive Education 과정의 경우 과정 자체는 학업 기간이 2년으로 고정되어 있지만, 4년제 대졸 이상만 입학이 가능하므로 최소 6년이 소요됩니다.
온타리오주에서 유일하게 토론토 대학교는 Teacher Education 과정이 대학원 수준에서 제공되고 있으며, 졸업 시 석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토론토 대학교 교대 석사과정에 관심이 있으시면 유학백서 홈페이지의 아래 컨텐츠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3. 온타리오주에서 Teacher Education 과정을 제공하는 대학 리스트
대학에 따라 Teacher Education 과정을 Concurrent 방식과 Consecutive 방식 둘 다 제공하는 경우도 있고, 한 가지 방식만 제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학백서에서는 인구가 많은 도심에 있는 토론토 대학교(University of Toronto), 요크 대학교(York University), 오타와 대학교(University of Ottawa)를 진행해봤고 합격 케이스도 있습니다.
아래 대학 리스트가 온타리오주에서 Teacher Education 과정을 제공하는 모든 대학입니다. 이외에 다른 선택지는 없습니다.
- Brock University
- Lakehead University
- Laurentian University
- Niagara University, Ontario
- Nipissing University
- OISE/University of Toronto
- Queen’s University
- Redeemer University
- Trent University
- Tyndale University
- Ontario Tech University
- University of Ottawa
- Western University
- Wildfrid Laurier University
- York University
1-4. 학습자 나이대와 Teaching Subject 선택하기
온타리오주 교원 양성과정에 지원하는 학생은 원하는 학습자 나이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는 다양한 과목을 골고루 가르치므로 Teaching Subject를 선택할 필요가 없지만, 중학교는 최소 Teaching Subject 1개, 고등학교는 최소 Teaching Subject 2개를 선택해야 합니다.
- 초등학교(Primary-Junior): Junior Kindergarten to Grade 6 (만 4세 – 10세)
- 중학교(Junior-Intermediate): Grades 4 to 10 (만 9세 – 15세)
- 고등학교(Intermediate-Senior): Grades 7 to 12 (만 12세 – 18세)
Teaching Subject는 단어 그대로 여러분이 교사로서 학교에서 중점적으로 가르치고 싶은 과목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중학교 수학선생님이 되려면 Mathematics를 Teaching Subject로 선택해야 합니다.
수학 선생님이 되려면 반드시 대학에서 수학과를 나와야 할까요? 물론 수학과 출신이 유리한 부분은 있지만, Teaching Subject 선택 조건은 그리 까다롭지 않습니다. 대학에서 본인이 원하는 Teaching Subject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과목을 2-3과목(6-9학점) 정도 이수했으면 충분합니다. 예를 들어, 학부생 때 경제학(Economics)이 전공이었다면 필수적으로 대학 수준의 수학을 2과목 이상 이수하게 되는데, 이 정도면 Teaching Subject를 수학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1-5. 교생 실습
온타리오주 Teacher Education 과정은 교생 실습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 대학이 위치한 지역의 공립 교육청과 연계해서 교생 실습에 참여하게 되며, 선택할 수 있는 교육청은 대학이 있는 도시에 따라 달라집니다. 교생 실습은 학기 도중에 참여하는 경우도 있고, 마지막 학기에 몰아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교생의 하루 일과는 고등학교의 경우 오전 7시 반 ~ 오후 4시 반, 초등학교의 경우 오전 8시 ~ 오후 5시 정도 된다고 합니다.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2. 온타리오주 교원 양성과정 합격 전략
온타리오주 Teaching Education 과정에서 지원자를 심사하는 요소는 지난 학교에서의 성적(GPA), 자기소개서(Personal Statement), 티칭 경험(Teaching Experience), 추천서(Letter of Reference) 등이 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인원을 뽑지 않기 때문에 경쟁력을 최대한 갖춰야 합격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지난 학교에서의 성적(GPA)은 당연히 좋아야 하며, 학교 또는 지역사회에서 학생들을 가르친 경험이 있거나, 학원 강사, 개인 또는 그룹 과외, 교육 관련 봉사활동 등 다양한 종류의 경험을 갖고 있을수록 유리합니다.
유학백서의 경험에 따르면 한국에서 교대나 사범대를 다니고 있거나 졸업한 분들은 아무래도 자연스럽게 교생 실습 경험이 생기기 때문에 비 교대 출신에 비해 티칭 경험을 꾸미기가 수월했습니다. 현직 교사인 분들도 동일한 맥락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한국 교사 자격증을 온타리오주 교사 자격증으로 전환하기
온타리오주에서 Teaching Education 과정을 수료하지 않고, 대한민국 정교사 1급 및 2급 자격증을 온타리오주 교사 자격증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주토론토총영사관 캐나다한국교육원(https://www.cakec.com/)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격증 전환에 대해서는 유학백서에서 답변 드리기 어렵습니다.
자격증 전환과 별개로 캐나다에서 합법적으로 체류하면서 일을 하려면 취업허가(Work Permit)가 있어야 합니다. 한국인이 받을 수 있는 취업허가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은 캐나다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신청할 수 있는 PGWP 비자, 그리고 만 35세 이하면 누구나 신청 가능한 워킹홀리데이 비자가 있습니다.
4. 자주 나오는 질문과 답변
Q. 온타리오주 교원 양성과정 입학 조건이 어떻게 되나요?
당연하지만 학교마다 요구하는 것들이 다릅니다. 유학백서에서 지금까지 가장 많은 케이스를 갖고 있는 요크 대학교(York University)의 경우 최소한 아래 조건들을 갖춰야 합니다. 요크 대학교의 경우 2021년 가을학기에 2,700명의 지원자 중 350명을 선발했습니다. (합격률 12.96%)
- 4년제 대졸 이상의 학력(전공무관) + 풍부한 티칭 경험 보유
- 학부 3-4학년 성적이 최소한 평균 B (73%) 이상
- 학부생 시절에 원하는 Teaching Subject와 관련된 과목을 최소 6학점 이상 이수
- 대학원 성적은 입학 심사에서 제외됨
그리고, 영어 능력도 증빙해야 합니다. 공인영어점수를 제출하는 경우 최소 점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TOEFL iBT 103 (23 in Listening, 24 in Reading, 28 in Writing and 28 in Speaking)
- IELTS Academic 7.0 (6.5 in reading and listening and 7.0 in writing and speaking)
- Duolingo English Test 120
- 요크 대학교 부설 어학원(YUELI) Level 9 수료
Q. 전반적으로 준비하는 사람들의 스펙은 어느 정도 되나요?
유학백서에서 파악하기론 온타리오주 Teacher Education 과정에 지원하는 한국인은 일년에 10명도 안 됩니다. 또한, 한국인 모두가 저희 유학원을 통해서 수속을 진행하시는 것은 아니므로 표본이 너무 없어서 스펙을 비교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유학백서를 통해서 캐나다 교대 입학 수속을 진행했던 분들은 최소한 한국에서 교대 출신이거나 기간제 교사 경험이 있는 분들이었습니다.
Q. 일년에 학비랑 생활비 합쳐서 얼마나 들까요?
연간 학비는 학교에 따라 다릅니다. 각 대학교 홈페이지에서 유학생 기준으로 연간 학비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생활비의 경우 개인차가 있어서 정확한 계산을 해 드리긴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싱글이신 경우 학비+생활비 합쳐서 일년에 최소 캐나다 달러로 5만불에서 6만불 정도 생각하시면 넉넉할 것 같습니다. 동반 가족이 있는 경우 조금 많이 넉넉하게 생각하셔야 합니다. 캐나다는 한국과 비교하면 월세는 거의 1.5배에서 2배 정도 비싸고 기본적인 생활비도 30% 이상 더 필요합니다.
Q. 현재 대학을 다니고 있는데 온타리오주 교원 양성과정에 편입이 가능하나요?
온타리오주 교원 양성과정 같이 커리큘럼이 고유한 프로그램은 다른 대학에서 공부한 과목들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현재 대학생이면 졸업해서 학사학위 취득 후 Consecutive Education 과정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 온타리오주 말고 다른 주에 대한 정보도 궁금합니다.
많은 분들이 BC주를 선호하기 때문에 교사 자격증도 시간을 들여 연구를 해보니, 현실적으로 캐나다 현지에서 대학을 다니고 있거나 졸업한 경우가 아니면 BC주에서 교사 자격증 취득하는 건 유학생에게는 너무 비현실적이더라구요. 앨버타주나 매니토바주는 가능하긴 한 것 같지만, 컨텐츠를 따로 만들진 못했습니다. 저희가 케이스가 생기면 관련 컨텐츠를 만들고 있는데, 앨버타주나 매니토바주에서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다는 문의는 지난 몇 년 동안 없었습니다.
캐나다 대입 상담 및 수속대행
유학백서는 학교/학과별 편입 조건 분석, 지원서 작성, 각종 영문서류 완성(에세이, 이력서, 추천서) 등 캐나다 대입을 위한 플랜 수립부터 합격 후 출국 전까지 필요한 모든 절차를 도와 드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