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캐나다 로스쿨 개요
1-1. Juris Doctor (JD) 학위과정
Juris Doctor (JD) 학위는 캐나다 로스쿨에서 3년의 학업을 마치면 받을 수 있는 학위로 캐나다에서 법조인이 될 수 있는 최초 단계입니다. 물론 JD 학위를 받자마자 변호사로 활동할 수 있는건 아니고, 각 주마다 요구하는 수습기간(Articling)을 거친 후 변호사시험(Bar Exam)에 합격해야 변호사로써 활동할 수 있는 자격이 생깁니다.
캐나다의 Juris Doctor (JD) 학위는 엄밀히 말하자면 학사학위(Undergraduate Degree)지만, 유학백서에서 본 포스팅을 캐나다대학원으로 분류한 이유는 로스쿨에 지원하려면 최소 3년 이상의 대학교육을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1-2. 캐나다 로스쿨만의 특징
캐나다 로스쿨은 지원 자격이나 입학시험으로 LSAT을 요구한다는 것까지 미국 로스쿨 유학과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그러나 캐나다만의 특징이 유학생들에게 더욱 메리트가 있기도 한데요! 예를 들면, 캐나다에서는 졸업 후 3년간의 취업비자(PGWP)을 확정적으로 받을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구직 활동과 현지 취업이 가능하고, 기회가 된다면 영주권까지 취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캐나다 로스쿨은 취업률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UBC 로스쿨에서 지난 5년간의 졸업생 성공률을 발표한 것인데, 졸업생의 90~95% 가량이 Secured Articles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말은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졸업하고 정상적으로 수습기간(Articling)을 거치는 중이라는 얘기입니다.
▲ 출처는 UBC Peter A. Allard School of Law – Career Outcomes
1-3. 유학생의 캐나다 로스쿨 학비
캐나다 로스쿨의 경우 캐나다 현지인이라도 등록금이 꽤 비싼 편이고, 유학생 신분은 캐나다 현지인들의 약 2배 정도로 등록금이 책정되어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캐나다에서 가장 학비가 비싼 토론토 대학교 로스쿨의 2024-25년도 유학생 기준 1년 학비를 캡처한 것입니다. 당연하지만 이름이 없는 대학일수록 학비는 부담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2024-25년도 토론토 대학교 로스쿨 학비
2. 캐나다 로스쿨 리스트와 순위
캐나다에는 불어로 수업하는 로스쿨을 제외하면 18개 로스쿨이 있습니다. 로스쿨 같이 전문직을 배출하는 전공에 순위를 매겨서 뭐하나 싶지만, 캐나다 3대 명문대로 일컫는 토론토/맥길/UBC 로스쿨은 세계에서 Top 50 안에 들어가는 명문으로 인정받으며, 캐나다 현지인들은 토론토 대학교 로스쿨과 요크 대학교의 오스굿 홀 로스쿨을 가장 높게 인정해줍니다.
그 밖에는 오타와 대학교, 퀸즈 대학교, 웨스턴 대학교 등 온타리오주에 있는 로스쿨들이 선호되고 있는데, 아무래도 로펌이 가장 많은 지역이고 취업처가 많아서 그렇습니다. 아래 대학 리스트가 영어로 수업하는 로스쿨을 보유한 18개 대학입니다.
- University of Alberta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 University of Calgary
- Dalhousie University
- Lakehead University
- University of Manitoba
- McGill University
- University of New Brunswick
- University of Ottawa
- Queen’s University
- Ryerson University
- University of Saskatchewan
- Thompson Rivers University
- University of Toronto
- University of Victoria (UVIC)
- Western University
- University of Windsor
- York University
3. 캐나다 로스쿨 입학 조건과 합격 전략
토론토 대학교 로스쿨을 예로 들면, 매년 2,000명 가량이 로스쿨 JD 프로그램에 지원하며, 그 중에 210명 가량이 로스쿨 신입생이 됩니다. (합격률 약 10%) 하지만 로스쿨 경쟁자들이 대개 5-6개 로스쿨에 동시 지원하다보니 지원자들 스펙이 상향 평준화가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각 대학간의 합격률은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3-1. 최소 학력 조건
학교마다 다르지만 캐나다 로스쿨은 보통 국가와 상관없이 전공무관 4년제 대학에서 3년(90학점)의 학업을 마친 상태면 지원할 수 있습니다. 즉, 학사학위(Bachelor’s Degree)를 반드시 보유하지 않아도 로스쿨에 지원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미국이나 캐나다 대학생들은 빠르면 3학년 1학기에 로스쿨에 지원하고, 3학년 2학기 끝나는 시점인 4월 말까지 3년(90학점) 학업 조건을 채우면 됩니다.
3-2. 대학교 성적(GPA)
캐나다 로스쿨 입시에서 대학교 성적의 비중은 30% 정도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경쟁력을 갖추려면 대학교 GPA가 최소 4.0 만점 기준에 3.7 (A-) 이상이어야 하며, 이는 백분율로 환산하면 80-84% 정도에 해당합니다. 물론 GPA가 낮다고 해서 합격이 100%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꾸준한 학업 성취를 보여주지 못하는 지원자는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습니다. 성적이 낮은 분들은 되돌릴 수 없는 대학교 성적에 대해 고민하는 것보다 당장 강화할 수 있는 요소에 시간을 투자해야 승산이 있을 것입니다.
3-3. LSAT (Law School Admission Test)
캐나다 로스쿨 입시에서 LSAT 점수의 비중은 30% 정도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경쟁력을 갖추려면 LSAT 점수를 160점 이상은 받아야 합니다. 각 로스쿨은 지난 합격자 LSAT 점수 평균치를 공개하고 있으며, 일부 대학은 LSAT Writing 까지 제출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니 미리 체크해야 합니다. 캐나다 로스쿨 입시에서는 지원자가 LSAT을 몇 번 트라이 했는지도 본다고 하니 너무 많은 시험을 보는 것은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3-4. 공인영어점수(TOEFL, IELTS etc.)
토론토 대학교 로스쿨은 TOEFL/IELTS/Duolingo 같은 공인영어점수를 아예 요구하지 않습니다. 솔직히 LSAT 시험 자체가 최고 수준의 영어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별도로 공인영어점수를 제출하라고 하는게 논리적으로 안 맞습니다. 단, 공인영어점수 필요 여부는 각 대학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지원하려는 대학에서 요구한다면 별도로 준비해야 합니다.
3-5. 학업계획서(Personal Statement)
캐나다 로스쿨은 면접을 보는 곳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대학교 성적과 LSAT 점수를 제외하면 변별력이 가장 큰 요소가 바로 학업계획서(Personal Statement)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단기간에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요소는 학업계획서가 전부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학업계획서에는 단순히 로스쿨에 지원하게 된 계기부터 로스쿨이라는 목표를 위해서 어떤 학업적인/비 학업적인 경험을 갖추어 왔는지, 본인이 로스쿨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그리고 법조인이 되면 지역사회에서 어떠한 기여를 할 것인지 등을 서술하게 됩니다.
3-6. 추천서(Letter of Recommendation)
캐나다 로스쿨의 경우 미국 로스쿨과 달리 추천서를 요구하지 않는 곳이 많습니다. UBC 로스쿨의 경우 추천서 2부를 요구하는데 대학교 추천서 1부와 직장 추천서 1부를 요구합니다. 반면에 토론토 대학교 로스쿨은 추천서를 아예 요구하지 않으며 제출해도 반영하지 않을거라고 안내되어 있습니다. 즉, 캐나다 로스쿨에서 추천서는 그다지 변별력을 갖지 못하는 요소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3-7. 이력서(CV/Resume)
이력서는 캐나다 로스쿨에 지원하기 전까지 계속 대학생이었고 직장을 다닌 적이 아예 없더라도 대외활동이나 봉사활동 등 비 학업적인 성취도를 보여줄 수 있으므로 입학 심사에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자주 나오는 질문과 답변
4-1. 유학생 신분으로 캐나다 로스쿨에 입학할 수 있나요?
몇몇 대학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캐나다 로스쿨은 유학생 신분으로 입학이 가능합니다. 다만 이쪽 분야의 특성상 유학생이라고 절대 봐주는게 없어서 캐네디언들과 직접적으로 경쟁해야 합니다.
4-2. 학부 성적이 낮은데 로스쿨에 지원할 수 있나요?
캐나다 로스쿨 입학 심사는 학부 성적 30%, LSAT 30%, 기타 인적 요소 40%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원하는 것 자체는 개인의 자유지만 학부 성적이 낮으면 경쟁에서 밀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대한 LSAT 점수를 높게 받고 나머지 인적 요소를 강화해서 성적이 낮은 부분을 보완해야 승산이 있습니다.
4-3. 학부에서 법학을 전공해야 하나요?
미국 로스쿨과 마찬가지로 학부에서 전공은 아무거나 해도 전혀 상관 없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 로스쿨 입시에 도움이 되려면 책을 굉장히 많이 읽어야 하고 영어 작문이 많이 필요한 사회과학(Social Sciences) 관련 전공이 무난하다고 봅니다.
4-4. LSAT 시험의 평균 준비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LSAT 시험에서 기출되는 내용은 한국어 교재로 공부하고 영어로 암기하는 편법이 불가능하므로, 영어가 안 되면 시험 준비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아무래도 영어권 국가에서 초중고나 대학을 다닌 적이 있으면 유리할 수 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저희 학생 중 영어권 국가에서 대학을 졸업한 학생이 노베이스로 첫 시험에서 163점 나온 케이스가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영어가 된다고 가정하면 보통 6개월에서 1년 정도 공부기간을 잡는 것이 좋습니다. 시험 유형에 대해서는 주관사인 LSAC (Law School Admission Council) 홈페이지를 참고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알아보세요. (유학백서는 LSAT 시험을 가르치는 학원이 아닙니다)
4-5. 유학백서에서는 어떤 부분을 도와줄 수 있나요?
각 대학별 로스쿨 입학 정보를 최신으로 분석하고, 입시 일정에 맞춰 온라인 지원서 및 에세이, 추천서, 이력서 완성을 포함한 전반적인 입학 수속을 대행하고 있습니다. 로스쿨 입시의 특징은 학교 갯수를 최대한 많이 쓰게 된다는 점이 있는데, 현재까지 수속을 맡겼던 학생들 대부분은 최소 5개교 이상 동시에 지원했습니다.
저희가 수속을 진행했던 학생들 중 캐나다 영주권/시민권자도 있었고, 미국이나 캐나다에서 4년제 대학을 다니고 있는 유학생도 있었습니다.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학생이 캐나다 로스쿨에 지원했던 케이스는 없었습니다.
유학백서는 LSAT 시험을 가르치는 학원이 아닙니다. 국내에 있는 LSAT 학원들은 유학백서와 아무런 연관이 없으므로 특정 학원을 추천하고 있진 않습니다. 참고로, 미국이나 캐나다 학생들은 Khan Academy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Official LSAT Prep을 통해서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캐나다 대학원 입학 수속대행
유학백서는 학교/학과별 입학 조건 분석, 지원서 작성, 각종 영문서류 완성(에세이, 이력서, 추천서), 교수진 사전 컨택, 펀딩 가능성 체크 등 캐나다 대학원 진학 준비부터 출국 전까지 필요한 모든 절차를 도와 드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