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대학원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의 종류와 특징

미국대학원 정보센터

미국대학원에 들어가면 논문을 무조건 써야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미국대학원에서 제공하는 학위과정 중에는 논문을 요구하지 않는 석사과정도 있기 때문이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대학원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일반대학원에서 제공하는 Academic Degree

 

1-1. 기본적인 개념

일반대학원에서 제공하는 Academic Degree는 학부 4년을 마치고 Bachelor’s Degree를 취득한 학생이 좀 더 심화된 교육을 받은 후 비판적인 탐구와 독립적인 연구를 통해 논문을 제출하여 심사를 통과하면 받을 수 있는 학위를 말합니다. Academic Degree는 학업 수준과 심화도에 따라 석사과정(Master’s Degree)과 박사과정(Doctor of Philosophy)으로 구분됩니다. 이 경우 석사과정을 연구석사라고 표현하는데, 이것은 더욱 심화된 연구를 할 수 있는 박사과정으로 진학할 수 있는 루트기 때문입니다.

 

1-2. 석사과정(Master’s Degree)

석사과정의 커리큘럼은 일반적으로 수업(Coursework), 프로젝트(Project), 그리고 연구(Research) 등으로 구성됩니다. 미국대학원에서 제공하는 석사과정 중 학위명이 Master of Arts (MA) / Master of Science (MS)인 과정들은 연구에 좀 더 중점을 둔 학위로서, 졸업 조건에 석사학위논문(Master’s Thesis)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에, 석사과정인데도 학위명이 Master of Engineering (MEng)인 경우는 연구보다는 주로 수업을 듣거나 세미나 참석하는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흔히 이런 석사과정을 수업석사라고 명칭하는데, 박사학위에 관심이 없는 직장인들이 실무에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전문 지식을 습득하는 Professional Degree로 구분이 됩니다. 미국 공대들은 대부분 연구석사와 수업석사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어서 목적에 맞는 학위과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1-3. 박사과정(Doctor of Philosophy)

박사과정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문제를 발굴하거나, 해결되지 못했던 문제의 정답이나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논문을 발행하게 되며, 연구실적에 따라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을 수 있습니다. 미국대학원에서 제공하는 박사과정의 특징은 박사과정 입학에 석사학위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미국 대학생들은 학부 때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학업적인 백그라운드를 완벽하게 갖출 수 있고, 교수님 연구실에 소속되어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해 본 경험을 보유한 학생이 많기 때문입니다.

 

1-4. 석박사 통합과정(Joint Master’s/Doctor of Philosophy)

미국대학원에는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개설되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심리학(Psychology)은 대부분의 미국대학에서 석박사 통합과정으로만 제공이 되고 있습니다. 석박사 통합과정은 석사학위만 단독으로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박사학위까지 생각이 없는 분들은 애초에 지원을 망설이게 되고 사실상 합격되기도 쉽지 않습니다.

석박사 통합과정은 심리학 외에도 이공계 대학원에서 자주 보이는데, 이공계 대학원에서 제공하는 과정들이 수업(Coursework)보다 연구(Research)에 중점을 두기 때문입니다. 석박사 통합과정은 애초에 목표가 박사학위인 분들이 석사 때 논문 때문에 고생하거나, 석사과정을 마치고 박사과정에 다시 한번 지원하는 절차를 거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고, 학업 시작과 동시에 RA/TA 포지션을 수행하는 조건으로 펀딩을 받을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도교수를 미리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경쟁률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 전문대학원에서 제공하는 Professional Degree

 

2-1. 기본적인 개념

미국에서 Professional Degree는 독립적인 학문 연구보다는 해당 직업에서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는 학위과정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의사나 변호사 같은 전문직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전문대학원 과정들이 Professional Degree의 대표적인 예시이며, 그 밖에도 전공분야에 따라 다양한 Professional Degree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고위 공무원들이 국외교육훈련을 위해 진학하는 미국 행정대학원의 MPA, MPP 과정도 Professional Degree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MPA, MPP 같은 공공행정, 공공정책 관련 석사과정은 해당 분야에서 다년간의 직장 경력을 가진 여러 국가의 사람들이 모여서 수업도 듣고, 토론도 하고, 세미나에 참여하는 것이 주요 커리큘럼입니다.

즉, Professional Degree는 원래 자기 직업에 복귀해서 바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되므로 박사과정으로 진학하기 위한 Academic Degree와 완전히 성격이 다릅니다. Professional Degree를 취득하는 것 자체만으로 해당 분야에서 최고 지식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다음 단계’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2-2. 전공분야별 Professional Degree 종류

유학백서에서 유학생들이 고려할 수 있는 전공분야별 Professional Degree 리스트를 정리했습니다. 미국에는 간호학 학사(BSN)처럼 학부 수준에서 제공되는 Professional Degree도 있지만, 본 컨텐츠의 취지에 맞게 대학원 수준에서 제공되는 것들 위주로 정리한 것입니다.

학위명 커리큘럼 및 목적 관련 직업군
M.D. (Doctor of Medicine) 미국 의사 면허 취득 의사
D.O. (Doctor of Osteopathic Medicine) 미국 정골의사 면허 취득 정골의사
D.D.S. / D.M.D. (Doctor of Dental Surgery / Doctor of Dental Medicine) 미국 치과의사 면허 취득 치과의사
Pharm.D. (Doctor of Pharmacy) 미국 약사 면허 취득 약사
D.V.M. (Doctor of Veterinary Medicine) 미국 수의사 면허 취득 수의사
D.P.T. (Doctor of Physical Therapy) 미국 물리치료사 면허 취득 물리치료사
O.D. (Doctor of Optometry) 미국 검안사 면허 취득 검안사
J.D. (Juris Doctor) 미국 변호사 시험 응시 자격 변호사
LL.M. (Master of Laws) J.D. 이후 특화된 분야 학업 변호사
M.Ed. (Master of Education) 미국 교사 자격증 취득 교사
M.Div. (Master of Divinity) 목회자 양성 목사
M.Arch. (Master of Architecture) 미국 건축사 시험 응시 자격 건축가
M.B.A.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경영 전문가 양성 기업 간부, CEO
M.P.A. (Ma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행정/정책 전문가 양성 공직자
M.P.H. (Master of Public Health) 공중보건 전문가 양성 공직자

 

미국 대학원 입학 수속대행 문의

유학백서는 학교/학과별 입학 조건 분석, 지원서 작성, 각종 영문서류 완성(에세이, 이력서, 추천서), 교수진 사전 컨택, 펀딩 가능성 체크 등 미국 대학원 진학 준비부터 출국 전까지 필요한 모든 절차를 도와 드리고 있습니다.

온라인 상담신청서카카오톡 1:1 채팅